사용 중인 컴퓨터의 하드디스크 여유 공간이 부족함을 느낄 때가 많습니다.
보통은 HDD / SSD를 추가한다던가 외장하드를 구매 사용합니다.
특히 시스템 드라이버인 C:의 용량이 부족하면 용량이 큰 하드로 변경하는 경우가 다반사입니다만 비용이 많이 들고 프로그램을 옮기고 세팅을 다시 하기가 좀 번거롭죠.
이럴 때 사용할 수 있는 기존의 하드디스크의 숨어있는 용량을 찾아서 사용할 수 있는 꿀팁 몇 가지를 소개하겠습니다.
1. 윈도우의 디스크정리
2. cipher /W:C:
3. powercfg.exe /hibernate off
4. compact.exe /compactOS:always
이 네 가지 방법을 해보면 숨어 있는 하드디스크의 사용 가능 용량을 늘릴 수 있습니다.
데이터용 하드보다는 시스템 하드디스크의 사용 가능 용량은 생각 외로 수십GB까지 늘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번은 윈도우 상에서 실행하며 2, 3, 4번은 cmd로 도스(DOS)상에서 실행하는 밥법입니다.
1. 윈도우의 디스크정리 가장 간편한 방법입니다.
윈도우 내PC -> C:드라이버에서 마우스 오른쪽 클릭 : 맨 밑의 속성(R) -> 디스크정리 -> 시스템 파일 정리 -> Windows 업데이트 정리 + Windows 업그레이드 로그파일 + 이전 Windows 설치 + 임시파일 클릭 -> 확인 클릭 -> 파일 삭제 클릭
이는 윈도우즈 업그레이드 데이터와 이전 설치된 윈도우즈의 파일 등이 삭제됩니다.
간단하고 용량 증가가 확실합니다만 이전 윈도우즈로의 복구 등은 안됩니다
현재 사용하시고 있는 윈도우즈가 안정적으로 작동 중일 경우 이전으로의 복구가 필요 없으므로 데이터 삭제해도 아무 문제없습니다.
2. cipher /W:C:
하드디스크 내의 삭제된 데이터를 확실하게 지워 버려 용량을 늘리는 방법입니다.
컴퓨터 맨 하단 작업 단추 중 찾기 (돋보기 표시) -> cmd 입력 -> 명령 프롬프트 앱 -> 관리자의 권한으로 실행 : 도스 화면으로 들어갑니다.
여기에 cipher /W:C: 입력 후 엔터!
C: 드라이브 대신에 D: 나 E:등 을 입력하면 해당 하드디스크를 정리합니다.
본 방법은 하드디스크 용량에 따라 아주 많은 시간이 소요됩니다. 그리고 작업 전 모든 사용 중인 프로그램을 닫고 작업 중에는 다른 작업을 하시지 말아 주세요.
저는 한밤 중에 본 작업을 하고 아침에 일어나서 마무리합니다.
하드디스크에서 삭제는 데이터를 완전히 삭제하라는 것이 아니라 검색만 되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삭제 후에 아무 작업을 안 했을 경우 Recovery 프로 그램을 사용하면 100% 복원이 가능한 이유입니다.
예전 도스 시절에는 삭제는 프로그램 이름의 맨 앞자리만을? 표로 바꾸어 검색이 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습니다. 아마 이것을 완전히 지우는 그래서 포렌식을 해도 잘 안 나오도록 할 수 있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3. powercfg.exe /hibernate off
최대 절전 모드 해제하기입니다.
2번에서 설명과 같이 cmd로 도스로 들어간 후에
powercfg.exe /hibernate off 입력 후 엔터!
램에 저장되는 데이터를 하드디스크에 임시로 저장하는 기능을 차단하는 것입니다.
하드디스크의 용량을 늘릴 수 있으나 작업 파일의 저장 안정성을 해칠 수 있습니다.
데이터 작업 중에 수시로 저장하는 습관을 갖추면 됩니다.
이 습관은 컴퓨터 작업자의 가장 기본이 되는 습관이기도 합니다.
4. compact.exe /compactOS:always
Compact OS 기능 사용.
2번에서 설명과 같이 cmd로 도스로 들어간 후에
cd.. 입력 2회 하여 C:\>로 들어간 후 -> cd windows -> cd system32
C:\Windows\System32> 폴더로 들어가신 후에
compact.exe /compactOS:always 입력 후 엔터!
cd는 Change Directory의 약어로 디렉터리를 변경하라는 도스 명령어입니다.
cd.. 은 상위 디렉터리로 가라는 도스 명령어이고요.
참고로 도스 명령어 중 dir 은 디렉터리 내의 파일을 모두 나타내라는 도스 명령어입니다.
이 것은 compact.exe 포로그램을 이용하여 사용하는 운영체제인 윈도우즈의 크기를 줄이고 압축파일에서 실행하도록 하는 OS 파일을 압축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OS를 압축하여 사용하므로 프로그램의 속도 등에 다소 나마 악영향이 있을 것 같습니다.
저는 보통 1번 과 2번 만으로도 충분한 여유 공간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컴퓨터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3번 과 4번은 사용하지 않습니다.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권장하지 않습니다.
'COMPUT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W PPS PD 고속 멀티충전기 - 내돈 내산 리뷰 (17) | 2023.06.07 |
---|---|
컴퓨터 한방에 끄기 (13) | 2023.06.04 |